각종문의는 Support Centor페이지에서 해주세요.
문서는 꼭 markdown 포멧으로 생성 해 주세요!
문서 생성은 무조건 Markdown!
{.is-info})
This sentence[1] needs a few footnotes.[2]
This sentence[^1] needs a few footnotes.[^2]
[^1]: A string of syntactic words.
[^2]: A useful example sentence.
웬만한건 다 지원합니다.
특히 Katex를 지원 하기 때문에 더더욱 Markdown을 써야합니다!
\```javascript
\```
/1depth/2depth/3depth
/위키가이드 = 1depth
위키의 모토중 하나는 지식의 체계화 이기 때문에 현재는 적절한 매니징을 통한 카테고라이징을 지향하고 있습니다.
따라서 1,2 depth까지는 무분별한 카테고리 생성을 막기위해 운영진이 직접 생성합니다.
이를테면 Tech Conference Info는 /news/tech-conference 즉 2depth인데요
광고를 가장한 컨퍼런스 정보 삽입등의 어뷰징을 막기위해 의도적으로 2depth에 두고 운영진만 수정하고 있으며, 유저들의 참여 할 수 있도록 /news/tech-conference/tech-conference-candidate 즉 3depth 경로를 따로 운영 하고 있습니다.
추가 카테고리가 필요할경우 Support Centor에 문의해주세요.
여기서 생성된 문서를 적절히 카테고라이징 해서 분류 하려고 하고있습니다.
ex) 공지사항, home
어뷰징방지, 더 나은 카테고라이징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1depth의 경우 정말 극소수의 인원만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.
문서 삭제 어뷰징 방지를위한 정책으로 모든 유저는 문서 삭제 권한이 없습니다.
삭제를 원하시는 문서를 삭제 대신 문서를 /_recycle-bin
혹은 900_recycle-bin
하위로 이동 시켜주세요.
운영진이 판단하고 삭제 또는 보존합니다.
국내 검열을 피하고자 해외에서 서버를 운용함에도 불구하고 아동 포르노에 한해서는 국내/국외 수사협조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협조 할 것입니다.
이를위해 해당 자료를 업로드 한 경우 영구 보존실로 이동하여 증거 자료로 제출 될 것이기 때문에 업로드 전에 다시한번 고민 하시기 바랍니다.
디렉토리는 가상의 경로입니다.
이를테면 c 문서를 /a/b 하위에 만들고 싶다고 가정합시다.
당신이 원하는 경로는 /a/b/c 입니다.
디렉토리를 전혀 만들 필요 없이 문서 생성 경로를 /a/b/c 로 입력하면
/a/b는 자동으로 경로로 파싱되고, c문서가 생성됩니다.
즉 경로를 생성 할 수 없습니다.
자 그럼 /a/b/c 문서를 보는중 b
를 클릭하면 어떤일이 벌어질까요?
경로가 없다고 나옵니다.
왜냐하면 /a/b 문서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
/a/b 경로로 문서를 만드시면 자동으로 /a하위에 b문서가 생성되고
이전에 생성한 /a/b/c문서에서 /a/b를 클릭하면 방금 생성한 /a/b문서로 이동이 됩니다.
/a가 있고,
/a안에 새로운 폴더인 b를 만들고 싶으면!
/a/b/c 이렇게 페이지를 만들면 됩니다.
바로 /a/b를 만들면, 만들어진 것은 폴더가 아니라 페이지가 됩니다.
페이지 url = 경로 = 폴더 입니다.
Empty 디렉토리는 존재 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.
/free-space경로는 2depth부터 문서를 생성 하실 수 있습니다.
이 이외에는 3depth부터 생성 하실 수 있습니다.생성을 원하시는 디렉토리가 있다면
우선 /free-space 하위 경로에 만드신후 Support Centor페이지에 문의 해주세요.
관리자 영역에만 나오긴 합니다만 각 문서에는 고유한 아이디가 있습니다.
https://kwiki.devserum.com/i/${PAGE_ID}
형태로 접근하면 해당 페이지로 자동 리다이렉션 됩니다.
그리고 현재 core 개발자도 이 기능 편의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습니다.
현재 local server 및 google 로그인을 지원합니다.
google login은 google nickname이 실시간으로 동기화됩니다.
local계정도 거의 비슷합니다만 비밀번호 찾기의 경우 Support Centor페이지에서 별도로 요청 해주셔야 합니다.